-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RPG 명작이라 칭송받는 베데스다 스튜디오의 엘더스크롤 5 : 스카이림
1. 글이 시작된 이유
RPG는 대단히 보편적이고 흔한 장르입니다. 그러나 과거에 MMORPG 리니지2 레볼루션을 개발하면서, 과연 우리는 RPG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고서 만들고 있겠냐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RPG를 만들고는 있지만, 오랫동안 즐겨왔던 게임들과는 달리, 여러 규칙을 얼기설기 엮어놓은 시뮬레이션을 만들어 놓은 느낌을 자주 받곤 했으며, 상업적인 성공을 차치하고, 과연 RPG로선 좋은 게임일까 하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이런 생각들을 명료하게 정리하기 위해 글을 써보았습니다.
2. RPG란?
RPG는 Role Playing Game의 준말로, 역할 수행 게임 혹은 역할극 게임이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Role Playing, 역할극은 무슨 뜻일까요? 이 장르는 해외에서 출발한 것이므로, 정확한 뜻을 찾기 위해 해외 지식 사이트 Wikipedia에서 검색해보았습니다.
"Role-playing refers to the changing of one's behavior to assume a role."
"Role-playing은 역할을 맡기 위해 행동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Role Playing Game은 무엇일까요? 마찬가지로 Wikipedia에서 해답을 찾아보았습니다.
"A role-playing game is a game in which players assume the roles of characters in a fictional setting."
"Role-Playing 게임은 가상 환경에서 플레이어가 인물의 역할을 맡는 게임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역할을 맡는 것이지, 그 사람이 나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즉, 연극과는 다르게 역할극을 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나라는 것이죠. 이것이 어드벤처 게임과는 결정적으로 다른 점으로 보입니다. 왜 그런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후 역할 편에서 다시 다루겠습니다.
3. RPG의 기본요소
이번에는 RPG를 구성하는 기본요소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앞선 정의에 따르면 RPG를 하기 위해선 가상 환경(세계)과 역할이 필요합니다. 이것만 있으면 충분할까요? 우리는 이것이 역할극임을 잊어선 안 됩니다. 이를 위해선 극을 위한 대본, 곧 일거리가 있어야 합니다. 이제 이 세 가지 요소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4. 역할
정확히는 플레이어가 게임 속에서 맡게 될 역할을 의미합니다. 저는 이것은 여러 기본요소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ㆍ플레이어의 정체성과 게임의 방향성을 결정합니다.
ㆍ역할에 따라 플레이어의 일거리가 정해집니다.
ㆍ게임 세계의 사회, 역사적 배경을 결정합니다.
게임을 시작하기 전 플레이어에게는 가상 세계에서 아직 이름, 성별, 정해진 역할, 직업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들은 게임을 시작할 때 기획자가 준비한 것들로 이것들을 결정하는데, 기획자는 이 모든 것을 게임에서 제공하려는 핵심 역할이 무엇이냐에 따라 구성합니다. 즉 역할이 플레이어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것이죠.
역할을 수행하려면 그것을 위한 무대가 필요합니다. 무대는 배우의 연기와 이야기의 몰입감을 더해주기 위한 보조 장치라, 반드시 역할에 따라가야만 합니다. 게임에서 하게 될 행동이나 일거리들 역시 역할극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므로 역할이 할만한 것이어야 합니다.
NC소프트의 블레이드 앤 소울에서는 홍문파 막내라는 역할을 부여합니다.
게임에서 역할은 하나로 제한되지 않습니다. 세계가 잘 구성되어 있다면, 게임은 플레이어에게 동시에 여러 역할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엘더스크롤4 오블리비언에서 플레이어는 세계를 구하는 영웅이 될 수도 있지만, 암살자 조직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런데도 게임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주요 역할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5. 세계
세계는 플레이어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무대입니다. 잘 짜인 세계는 역할에 개연성을 부여해주며, 살아 움직이는 듯한 자연스러운 세계는 플레이어가 그 세계에서 살고 있다고 착각하게 만들어 몰입감을 향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세계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라 믿어져야 합니다. 게임 내에 등장하는 모든 NPC는 그저 폴리곤 덩어리나 기계가 아닌, 정말 그 세계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이며, 사냥터에 돌아다니는 늑대, 오크마저도 저마다의 사연을 가지고 살아가야 합니다. 인형을 보고 연극 연습을 하는 것과 실제 사람과 하는 것 중 무엇이 더 몰입될까요? 답은 이미 정해져 있습니다.
위쳐3의 노비그라드는 그저 가상이라고 치부하기엔 너무 자연스럽습니다.
앞서 역할을 이야기하며, 그것이 세계를 결정한다고 했습니다. 세계는 역할 몰입을 위한 보조장치입니다. 즉 세계가 있어서 역할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역할을 위해 세계가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디아블로의 경우, 위험에 빠진 세계를 구하기 위해 네팔렘이 된 것이 아니라, 네팔렘이 되기 위해 위험에 빠진 세계가 필요한 것입니다. 위쳐의 경우, 세계에 괴물이 넘쳐나서 위쳐 게롤트가 되는 것이 아니라, 위쳐가 되기 위해 괴물이 넘치는 세계가 필요한 것입니다. 이 단순해 보이는 역발상이 RPG 개발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6. 일거리
일거리는 플레이어가 역할을 맡으며 할 것들을 의미합니다. 역할을 맡는 것은 실제로 그것의 행동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전사 역할을 맡았다면 칼을 들고 뭐라도 베어야 의미가 있다는 것이죠. 일거리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엘더스크롤5 스카이림의 주요 역할과 일거리는 도바킨으로써 깨어난 용족을 저지하는 것이며 이것은 퀘스트로 제공합니다. 리니지2는 아덴을 제패할 혈맹의 일원이 되는 것을 혈맹 시스템, 공성전 시스템으로 제공합니다.
일거리 역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장치입니다. 플레이어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느끼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위쳐3의 경우, 특수 상인은 마을을 점령한 괴물을 퇴치하면 마을 사람들이 다시 마을에 돌아오도록 해야 만날 수 있으며, 위쳐 활동에 도움이 되는 물건을 판매합니다. 격투는 위쳐의 싸움 실력이 궁금한 싸움꾼들이 그를 초대하는 것이며, 위쳐는 활동 자금을 얻기 위해 참여합니다.
7. 1편을 마치며
1편에서 중요하게 이야기했던 것을 뽑자면 아래 세 가지가 있습니다.
ㆍRPG는 가상 환경에서 인물의 역할을 맡는 게임입니다.
ㆍRPG의 기본 요소로는 역할, 세계, 일거리가 있습니다.
ㆍ기본 요소 중,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제 2편에서는 RPG의 기본요소를 바탕으로 무엇 때문에 제가 만드는 게임이 RPG로써 매력이 부족하다고 느꼈는지 생각해보려 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